네트워크의 구조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대개 전산팀에서 근무하게 되면 개발 뿐 아니라 인프라 업무를 경험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개발만 하다가 우연히 네트워크 업무를 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전무했기에 기본 개념을 익힐 수 있는 책을 찾던 중 '모두의 네트워크' 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쉽게 풀어서 쓴 책이기에 저처럼 전공자가 아닌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해당 챕터는 이 책을 공부하며 정리했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네트워크란 ?
네트워크란 컴퓨터들이 통신망을 통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된 체계를 말합니다.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 · 수신과 같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2. 인터넷이란?
인터넷은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3. 패킷이란 ?
패킷(Packet)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을 말합니다. 큰 데이터가 있더라도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게 규칙입니다. 패킷의 전송은 순서대로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무작위로 송신됩니다. 그래서 수신측에서 패킷을 결합하기 위해 각 패킷에 번호를 붙여서 전송합니다.
▶ 큰 상태로 보내면 번거롭지 않을텐데 왜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것일까?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그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점유)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작게 나누어서 보냅니다.
출처 : 모두의 네트워크 - 10일 만에 배우는 네트워크 기초 (출판사:길벗)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