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관련 용어정리

1. ASP.NET Core ASP.NET Core는 최신 클라우드 사용 인터넷 연결 앱을 빌드하기 위한 플랫폼 간 고성능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2. Framework 프레임워크는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하나의 뼈대 역할을 합니다. 3. Azure IoT 사물 인터넷 또는 IoT는 에지와 클라우드에서 수십억 개의 IoT 자산을 연결, 모니터링, 제어하는 관리형 서비스 및 플랫폼의 컬랙션입니다. 4. Cloud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을 말합니다. 인터넷 상의 가상화된 서버에 프로그램을 두고 필요할 때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불러와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Cloud)라는 단어가 말해주듯, 인터넷 통신망 어딘가에서 구름에 싸여 보이지 않는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대로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5. On-premise 온프레미스(on-premise)는 소프트웨어 등 솔루션을 클라우드 같이 원격 환경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온프레미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기업 인프라 구축의 일반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전의” 또는 “전통적인”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됩니다. 6. 웹앱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을 말합니다. 인터넷 상의 가상화된 서버에 프로그램을 두고 필요할 때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불러와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Cloud)라는 단어가 말해주듯, 인터넷 통신망 어딘가에서 구름에 싸여 보이지 않는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대로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7. Intranet 인트라넷(Intranet)은 단체의 직원만 접근이 가능한 사설망입니다. 인터넷 프로토콜을 쓰는 폐쇄적 근거리 통신망으로 간주됩니다. 근거리 통신망(LAN)을 기반으로 데이터 저장장치인 서버를 연결하고 PC에...

VS Code

이미지
제가 웹이나 모바일 개발, README 작성 시 자주 사용하는 VS Code에 대해 기술합니다. 대부분의 확장자를 지원하기에 소스 분석에도 용이하므로 텍스트 에디터가 필요하시다면 설치 후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1. 프로그램 설치 및 실행하기 1) VS Code란? VS Code(Visual Studio Code)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오픈소스로 개발한 텍스트 에디터입니다. 일렉트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MS의 개발툴 중 최초로 크로스플랫폼을 지원하는 에디터로써 윈도우, Mac, 리눅스 모두 지원합니다. 2) VS Code 설치하기 VS Code는 공식 사이트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설치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하다보면 추가작업 선택이 나오는데 이때는 개인의 작업환경에 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참고로 "Code(으)로 열기" 항목은 체크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이 항목을 체크해야 아래와 같이 파일을 VS Code로 바로 열 수 있습니다. 3) 마켓 플레이스 활용하기 VS Code는 텍스트 에디터이기에 추가로 필요한 기능은 마켓 플레이스에서 다운로드해서 사용합니다. 2. VS Code 기본 환경 구성하기 1) 언어 변경하기 ① VS Code 상단 메뉴에서 View→Command Palette 선택(단축키 : Ctrl + Shift + P ) ② 검색창에 cdl 입력 (CDL, Configure Display Language) ③ 원하는 언어 선택 2) 테마 변경하기 ① VS Code 상단 메뉴에서 View→Command Palette 선택(단축키 : Ctrl + Shift + P ) ② 검색창에 Preference: Color Theme 선택 ③ 원하는 색상 선택 3. 주요 단축키 1) 주석 관련 - 한 줄(Line) 주석 토글하기 Ctrl + / - 한 줄에도 적용가능하지만 여러 줄에도 사용 가능하다. (블록이 아닌 한 줄 주석이 여러 줄에 적용됨) 2) 들여쓰기 간격 설정 -  Ctrl + Shift + P  누...

Outlook 메일이 winmail.dat로 바뀌는 현상

이미지
 1. winmail.dat 첨부파일이 메일에 포함된 경우 간혹 Outlook으로 작성된 메일을 보면 메일 내용은 없고 winmail.dat 첨부파일이 첨부된 경우가 있습니다. 발송인은 정상적으로 보냈다고 하는데 왜 내용이 사라졌을까요? 그 이유는 발송인의 Outlook 옵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 편집 설정을 Outlook에서 할 수 있는데 이 설정이 HTML이 아닌 서식 있는 텍스트일 경우 winmail.dat으로 텍스트가 분리되어 메일이 발송됩니다. 그런데 네이버 이외에 Google 메일로 동일하게 받으면 자동으로 .dat을 해석하여 정상적으로 메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메일 서버마다 지원하는 규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어지간해서는 해외 메일을 이용하는게 나름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aiwositai/221371035978

Outlook 이미지 깨짐 해결방안

이미지
회사에서 근무하면서 Outlook에서 전달 받은 메일의 일부 이미지가 깨졌다고 연락 받았습니다. 저는 당연히 보안 옵션이 문제이겠지 싶었으나 실제로는 해당 PC의 루트 인증서가 문제였습니다;;; 다소 특이한 경우였기에 내용 정리합니다!  1. Outlook 보안 옵션 수정하기 이미지 액박이 뜬 경우라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1) Outlook에서 파일 -> 옵션 -> 보안 센터 설정 클릭 2) 자동 다운로드 -> "HTML 전자 메일 메시지 또는 RSS 항목에서 자동으로 그림 다운로드 안함" 체크 해제 3) Outlook 재실행하여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확인 2. 루트 인증서 확인하기 위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특정 PC의 루트 인증서를 확인해봐야 됩니다. 문제가 되는 PC에서 다음과 같이 테스트해보시기 바랍니다. 1) Outlook에서 해당 메일을 열어서 마우스 우측 클릭 -> 소스 보기 클릭 -> 해당 이미지 링크 복사 2) 브라우저에서 해당 링크로 접속 접속 시 아래와 같이 나온다면 루트 인증서로 확인해야 됩니다. 3) 인증서 체크하기 Chrome의 경우는 URL 창 왼쪽에 자물쇠 클릭 -> 자물쇠 항목 클릭 -> 인증서 항목 클릭 -> 인증 경로 확인 Edge의 경우는 URL 창 왼쪽에 자물쇠 클릭 -> 우측 상단 인증서 아이콘 클릭 -> 인증 경로 확인 4) 인증서 재등록 인증서를 확인했을 때 문제가 있는 PC와 정상 PC의 인증서가 다르다면 정상 PC의 인증서를 해당 PC에 다운로드 해야됩니다. 정상 PC에서 검색 ->  certmgr.msc  입력 신뢰할 수 있는 루트 인증기관 클릭 -> 해당 인증서 우측 클릭 -> 모든 작업 -> 내보내기 5) 해당 인증서를 문제가 있는 PC로 복사 후 인증서 설치 진행 6) 설치 후 브라우저에서 캐시를 모두 초기화 -> 브라우저 종료 후 다시 실행 및 테스트 7) Outlook ...

USB 디스크 인식 해결방안

이미지
회사에서 같은 부서 직원이 USB가 고장난 것 같다며 버리려고 할 때, 문득 고칠 수 있겠다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구글링을 해보니 관련 내용이 있었고 그때 공부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혹시라도 회사에서 누군가 USB를 버리려고 한다면 시도해보시길 ㅎㅎ  1. USB 디스크 파티션 할당하기 USB가 연결되지 않는 원인은 대부분 아래와 같이 디스크가 할당괴지 않은 경우입니다. 그렇기에 디스크 초기화 후 다시 할당해주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1) 내 PC -> 관리 -> 디스크 관리 접속 2) 해당 파티션 클릭 -> 마우스 우측 클릭 -> 새 단순 볼륨 클릭 만약 위와같이 진행했을 때 새 단순 볼륨을 클릭했으나 팝업창이 나오지 않았다면 DOS 모드에서 파티션 초기화를 진행해야 됩니다;; 2. USB 디스크 파티션 할당하기 1) 명령 프롬프트에서 diskpart 입력 -> 실행을 동의하면 디스크 파트 도스창이 열립니다. 2) list disk 입력 3) 해당 디스크 번호로 sel disk 해당번호 입력 4) clean 입력 5) create partition primary 입력 6) format quick fs=ntfs 입력 7) active 입력 8) exit 입력 후 정상적으로 USB가 인식되는지 체크합니다. 출처 :  https://jcom.tistory.com/17

Table 제어하기

 1. Table 생성하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CREATE TABLE emp ( empno INT NOT NULL PRIMARY KEY , --기본키를 설정할 수 있다. ename VARCHAR ( 10 ), job VARCHAR ( 9 ), mgr INT , hiredate DATE , sal NUMERIC ( 7 , 2 ), comm NUMERIC ( 7 , 2 ), deptno INT ) GO 참고로 쿼리문으로 직접 실행하지 않고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해당 DB 테이블 폴더에서 새로만들기 → 테이블 클릭 후 추가하면 됩니다. ▶ 생성된 테이블의 정보는 어떻게 확인할까? 간혹 쿼리문을 작성하다가 해당 테이블의 컬럼 속성을 확인해야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는 테이블을 드래그 또는 더블클릭한 다음에  Alt + F1  단축키를 사용하면 된다. 2. Table 삭제하기 1 DROP TABLE Shippers 3. 컬럼 추가하기 Table 마지막 열 다음에 새로운 컬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1 2 ALTER TABLE Customers ADD Email varchar ( 255 ) ▶ 컬럼을 맨 마지막이 아닌 다른 위치에 추가할 수 있을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구문을 이용해서는 중간에 컬럼을 삽입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별도의 임시테이블을 생성해서 값을 복사하여 테이블을 새로 구축 한 뒤 Insert합니다. 4. 컬럼 속성 변경하기 1 2 ALTER TABLE Customers ALTER COLUMN Email varchar ( 255 ) 5. 컬럼명 변경하기 1 2 EXEC SP_RENAME 'Customers.[Email]' , 'email' , 'COLUMN' ...

데이터 조회하기

이미지
1.  데이터 조회하기 데이터를 조회할 때는 기본적으로 최상단에 DB를 선언하고 SELECT 문을 작성합니다. 1 2 3 4 use DB 이름 -- DB를 변경할 때 use를 사용한다. SELECT * -- select에는 확인하고 싶은 컬럼을 입력한다. 전체는 * 이다. FROM Table_A A -- from에는 조회할 Table을 입력한다. Table 뒤에 있는 A는 Alias이다. 참고로 use를 사용하지 않더라고 해당 쿼리문에 대한 DB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Alias란?  Alias는 값에 별칭을 주어 접근을 별칭 형태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컬럼, 테이블, 서브쿼리, Where절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알아보기 힘든 컬럼에 AS(별칭)을 많이 사용합니다. 2. 중복 데이터 제거 후 조회하기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조회하고 싶을 때는 DISTINCT을 사용합니다. 중복 조건은 SELECT에서 선언된 컬럼입니다. 1 2 SELECT DISTINCT column1, column2 FROM table_name 3. 데드락을 방지하여 조회하기 MSSQL은 DML(INSERT, UPDATE, DELETE) 작업중에는 LOCK 상태가 되어 해당 작업 이후에 SELECT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작업중에 SELECT를 진행하면 멈추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멈춤을 방지하기 위해 WITH(NOLOCK)을 사용합니다. 1 2 SELECT A.name FROM table_name with (nolock) A 4. 조회 조건 추가하기 WHERE 절을 사용하면 Table 자료를 특정 조건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건을 여러 개 사용할 경우에는 AND 또는 OR Syntax를 사용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SELECT * ...